+ 한길농장 2022년 9월 출하한 거세우 5두 성적
평균 30.4개월 출하, 평균 마리당 수취가 1400만원, 평균 도체중 551.8kg, 등심단면적 118cm²
2014년 한길농장의 연수익은 3,500만 원이었습니다. 하지만 21년도 연수익은 무려 3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불과 620만 원이었던 거세우 평균 가격도 1,208만 원을 달성해 약 2배 정도의 성적 향상을 이뤄냈습니다.
아버지가 운영하던 농장에 제가 합류했던 때, 당시 농장은 사료의 문제로 성적과 수익이 크게 떨어져 고생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농장의 자료는 데이터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아 얼마나 성적이 떨어졌는지, 수익은 얼마인지에 정확히 알 수 없었습니다.
그때부터 농장의 모든 항목을 데이터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료섭취량, 소의 출하 성적, 번식우와 비육우의 사료비, 농장의 수입과 지출, 지출 항목별 비율 등 농장의 데이터를 수치로 확인하니 문제점이 무엇인지 보이기 시작했고 점차 그 문제들을 해결해나갔습니다.
그 결과 현재 한길농장의 2022년도 거세우 평균 출하 성적은 도체중 511kg, 지육단가 23,520원, 마리당 평균수취가 1,206만 원을 달성했
습니다.
2022년도 한길농장 거세우 등급판정결과
농장의 수익이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투자도 가능하게 되어 2016년도에 번식 우사 신축, 20년도에 송아지 우사를 신축하며 꾸준히 규모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240두 일관사육)
2016년도에 신축한 한길농장 번식 우사
“소는 애완용이 아닙니다.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농장을 운영하고 소를 키웁니다.”
그러므로 소를 키우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우리 농장에서 정확히 얼마의 수익이 나고 있는지 아는 것입니다. 이걸 모른다면 ‘직장인이 내 월급이 얼마인지 모르면서 회사를 다니는 것’과 똑같습니다.
또한 농장의 성적은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에 농장의 성적을 데이터화하여 성적이 올라가고 있는지 떨어지고 있는지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농장의 데이터 분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한길농장 농장 수익 분석 요약
2021년
총 매출 : 804,620,000원
총 지출 : 470,270,000원
매출총이익 : 334,350,000원
영업이익 : 309,350,000원
2022년
총 매출 : 565,490,000원
총 지출 : 493,650,000원
매출총이익 : 71,840,000원
영업이익 : 160,840,000원
[2022년 구축사 리모델링으로 인한 출하두수 감소+소값 하락으로 이익 저하]
한우 번식우 50두 농장은 1년에 무려 약 3억 원의 돈이 움직입니다.
*통계청 자료 기준 - 사육비, 수입 합계
이 큰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면 결과는 뻔합니다. 어디서 돈이 새는지도 알 수 없고, 내가 얼마의 돈을 벌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나의 소비(생활비)에 대한 기준도, 농장 투자에 대한 기준도 제대로 정할 수 없습니다.
결국 농장의 수익 대비 과도한 투자로 빚더미에 앉거나, 농장에 재투자할 자금을 마련하지 못해 규모화에 실패하여 한우 산업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한길농장은 매년 재무분석을 통해 농장의 총자산, 매출, 지출, 이익 등을 분석함으로써 자금의 흐름을 상세히 파악하고 있습니다.
2021년 한길농장 매출과 지출
재무분석을 통한 농장 이익률 파악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는 사람은 농장의 농부이지만,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면 농장의 경영자가 됩니다."
한우 농장의 정확한 수익성 분석 자료는 가지고 있는 농장주도 소수이고, 외부에는 절대 공유되지 않습니다. 이 강의 내용에는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는 실제 한우 농장의 자세한 수익 분석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한우의 실제 수익률과 필요한 자본금 등의 세부적인 내역까지 알 수 있습니다.
소를 키우면 주말도 없고, 여행도 못 다닌다고요?
데이터 분석은 내 삶을 농장에만 얽매이지 않도록 해줍니다. 농장의 직원 고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일반 농가에서 직원을 고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바로 데이터가 수치화되어있지 않아서입니다.
내 농장의 정확한 수익을 모르기 때문에 직원을 고용하면 막연히 나에게 남는 게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또한 직원은 내가 직접 소를 관리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에 결국 농장의 성적이 떨어질 것이라는 막연한 걱정에 휩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내 농장의 데이터를 파악함으로써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직원의 월급을 주고 나에게 얼마의 수익이 남는지 알 수 있고, 정확한 사료급여량과 사양관리 방식을 직원에게 전달하여 농장의 체계적인 관리와 성적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됩니다.
실제로 저희 농장은 직원을 고용한 뒤에도 농장의 성적은 매년 꾸준히 향상되어왔고, 저는 365일 쉬지 못하고 매일 근무했던 농장 일을 점차 줄여 현재는 주 3일만 일을 하고 있습니다.
2014년 : 주 7일 (365일 근무)
2016년 : 주 6일
2017년 : 주 5일
2019년 : 주 4일
2021년 : 주 3일 근무
농장 업무 외의 시간이 생긴 덕에 농장의 데이터 분석에도 더 시간을 쓸 수 있고, 추가로 이번 온라인 강의와 다른 사업들도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주 3일 외에 휴무에는 가족과의 시간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만 키우는 농부가 아닌 남편으로서, 이제 두살이 된 첫째 아들의 아빠로서 가장의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공룡을 좋아하는 첫째 아들 들이와 공룡 박물관 방문
2022년도 봄 가족 벚꽃 나들이
‘나는 데이터 분석과 재무에 대해 전혀 모르는데?’, ‘나는 숫자에 좀 약한데?’라고 걱정하고 계신가요?
농장의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지식은 초등학교 때 배운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만 알면 됩니다. 또한 제가 직접 만들어 농장 경영 관리에 이용하고 있는 엑셀 원본 파일을 공유해 드리기 때문에 내 농장의 수치만 입력하면 됩니다.
※강의 첨부자료 (해당 강의 회차에서 다운로드 가능)
농장 매출, 매입 정리 양식
농장 재무제표 분석 시트
번식우 성적 분석 시트
비육우 성적 분석 시트
사료 효율 분석 시트
이론적이고 어려운 내용이 아닌, 당장 농장의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농장을 경영하면서 필요한 실전 내용만을 다루기 때문에 왕초보도 이해할 수 있는 난이도입니다. 전혀 걱정하지 말고 편하게 들으시면 됩니다!
강의 목차
1. 강의 소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농장 분석 [무료 공개] - 06:10
2. 농장 데이터 (수익성/재무제표) 분석이 필요한 이유 - 10:47
3. 농장 포지셔닝 정하기[종류와 특징, 투입되는 비용] - 16:37
4. 번식우 농장 데이터 관리 [사료비] - 13:25
5. 번식우 농장 데이터 관리 [번식 성적] - 15:49
6. 엑셀을 이용한 번식우 관리 - 16:24
7. 거세우의 출하성적 분석하기 - 13:51
8. 사료 효율 분석하기 [소의 도체중 예측 방법] - 18:45
9. 한우 농장의 공통비 관리 [매입(원가)과 매출 내역 정리하기] - 12:20
10. 내 농장의 수익률은? [농장 재무제표 작성하기] - 14:34
+ 보너스 강의 - 사료 요구율 분석 보강 및 한길농장 2022년 출하 성적 분석 - 15:33
이런 분들을 위한 강의입니다.
· 내 농장의 1년 수익이 얼마인지 모르시는 분
· 사료값 내면 남는 게 없어 돈이 어디에서 새는지, 농장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싶은 분
· 농장의 번식우, 비육우의 성적을 분석하고 싶은 분
· 농장의 재무제표를 작성하여 돈의 흐름을 확실하게 알고 싶은 분
· 농장 운영을 시작하고자 하는데, 시작부터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싶은 분
볏짚을 먹고 있는 한길농장 육성우들
전국에 1,000곳의 우수 농장이 있다면 각각 다른 1,000개의 소를 키우는 노하우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우수 농장의 공통점은 데이터 분석을 한다는 것입니다.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는 농장은 성적을 높일 수도, 소값 하락 시 살아남을 수도 없습니다. 내 농장의 성적이 어느 정도인지, 농장의 연수익은 얼마인지, 농장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분석은 네비게이션과 같습니다.
네비게이션은 나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내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헤매지 않고 최단 시간에 도착하게 해줍니다.
데이터 분석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농장의 현재 상태를 진단해 주고 내가 목표로 하는 연수익과 성적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여줄 것입니다. 간혹 잘못된 방향으로 가더라도, 이 또한 데이터가 말을 해줄 것입니다.
이 강의가 많은 한우 농가의 네비게이션 역할이 되길 바랍니다.
[무료 공개 1강 - 강의 소개 영상]
서영봉
- 한길농장 경영 (한우 일관 240두)
- 사료비 계산 모바일 앱 '사료통' 대표
- 건국대학교 축산경영과 졸업
- 월간축산 22년 5월호 한우 분야 고수로 선정 (링크)
- 한우경영인회 총무
온라인 강의의 수강 가능 기간은 3개월(90일)입니다.
월 33,000원
99,000원(3개월)
농장의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손실은 월 3만원의 수준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천만 원, 혹은 농장의 규모와 시간에 비례하여 그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소가 한 번 먹으면 사라져버리는 생균제나 첨가제조차 1포에 5~10만원을 투자합니다.
첨가제 대신 이 강의를 수강하시면, 소를 키우는 동안 영원히 써먹을 수 있는 농장의 데이터 분석 노하우를 배울 수 있습니다.
"첨가제를 사시겠습니까? 아니면 내 소득과 직결되는 농장 경영 노하우를 배우시겠습니까?"
1차원적으로 소에게 투자하는 첨가제 1포 보다, 한우 농장 경영의 효율을 올려줄 한길농장만의 노하우가 압도적으로 더 높은 가치를 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첨가제 1포의 가격도 안되는 월 33,000원의 비용으로 한길농장의 데이터 분석 노하우를 제대로 배워보세요.
+ 한길농장 2022년 9월 출하한 거세우 5두 성적
평균 30.4개월 출하, 평균 마리당 수취가 1400만원, 평균 도체중 551.8kg, 등심단면적 118cm²
2014년 한길농장의 연수익은 3,500만 원이었습니다. 하지만 21년도 연수익은 무려 3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불과 620만 원이었던 거세우 평균 가격도 1,208만 원을 달성해 약 2배 정도의 성적 향상을 이뤄냈습니다.
아버지가 운영하던 농장에 제가 합류했던 때, 당시 농장은 사료의 문제로 성적과 수익이 크게 떨어져 고생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농장의 자료는 데이터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아 얼마나 성적이 떨어졌는지, 수익은 얼마인지에 정확히 알 수 없었습니다.
그때부터 농장의 모든 항목을 데이터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료섭취량, 소의 출하 성적, 번식우와 비육우의 사료비, 농장의 수입과 지출, 지출 항목별 비율 등 농장의 데이터를 수치로 확인하니 문제점이 무엇인지 보이기 시작했고 점차 그 문제들을 해결해나갔습니다.
그 결과 현재 한길농장의 2022년도 거세우 평균 출하 성적은 도체중 511kg, 지육단가 23,520원, 마리당 평균수취가 1,206만 원을 달성했
습니다.
2022년도 한길농장 거세우 등급판정결과
농장의 수익이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투자도 가능하게 되어 2016년도에 번식 우사 신축, 20년도에 송아지 우사를 신축하며 꾸준히 규모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240두 일관사육)
2016년도에 신축한 한길농장 번식 우사
“소는 애완용이 아닙니다.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농장을 운영하고 소를 키웁니다.”
그러므로 소를 키우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우리 농장에서 정확히 얼마의 수익이 나고 있는지 아는 것입니다. 이걸 모른다면 ‘직장인이 내 월급이 얼마인지 모르면서 회사를 다니는 것’과 똑같습니다.
또한 농장의 성적은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에 농장의 성적을 데이터화하여 성적이 올라가고 있는지 떨어지고 있는지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농장의 데이터 분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한길농장 농장 수익 분석 요약
2021년
총 매출 : 804,620,000원
총 지출 : 470,270,000원
매출총이익 : 334,350,000원
영업이익 : 309,350,000원
2022년
총 매출 : 565,490,000원
총 지출 : 493,650,000원
매출총이익 : 71,840,000원
영업이익 : 160,840,000원
[2022년 구축사 리모델링으로 인한 출하두수 감소+소값 하락으로 이익 저하]
한우 번식우 50두 농장은 1년에 무려 약 3억 원의 돈이 움직입니다.
*통계청 자료 기준 - 사육비, 수입 합계
이 큰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면 결과는 뻔합니다. 어디서 돈이 새는지도 알 수 없고, 내가 얼마의 돈을 벌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나의 소비(생활비)에 대한 기준도, 농장 투자에 대한 기준도 제대로 정할 수 없습니다.
결국 농장의 수익 대비 과도한 투자로 빚더미에 앉거나, 농장에 재투자할 자금을 마련하지 못해 규모화에 실패하여 한우 산업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한길농장은 매년 재무분석을 통해 농장의 총자산, 매출, 지출, 이익 등을 분석함으로써 자금의 흐름을 상세히 파악하고 있습니다.
2021년 한길농장 매출과 지출
재무분석을 통한 농장 이익률 파악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는 사람은 농장의 농부이지만,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면 농장의 경영자가 됩니다."
한우 농장의 정확한 수익성 분석 자료는 가지고 있는 농장주도 소수이고, 외부에는 절대 공유되지 않습니다. 이 강의 내용에는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는 실제 한우 농장의 자세한 수익 분석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한우의 실제 수익률과 필요한 자본금 등의 세부적인 내역까지 알 수 있습니다.
소를 키우면 주말도 없고, 여행도 못 다닌다고요?
데이터 분석은 내 삶을 농장에만 얽매이지 않도록 해줍니다. 농장의 직원 고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일반 농가에서 직원을 고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바로 데이터가 수치화되어있지 않아서입니다.
내 농장의 정확한 수익을 모르기 때문에 직원을 고용하면 막연히 나에게 남는 게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또한 직원은 내가 직접 소를 관리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에 결국 농장의 성적이 떨어질 것이라는 막연한 걱정에 휩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내 농장의 데이터를 파악함으로써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직원의 월급을 주고 나에게 얼마의 수익이 남는지 알 수 있고, 정확한 사료급여량과 사양관리 방식을 직원에게 전달하여 농장의 체계적인 관리와 성적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됩니다.
실제로 저희 농장은 직원을 고용한 뒤에도 농장의 성적은 매년 꾸준히 향상되어왔고, 저는 365일 쉬지 못하고 매일 근무했던 농장 일을 점차 줄여 현재는 주 3일만 일을 하고 있습니다.
2014년 : 주 7일 (365일 근무)
2016년 : 주 6일
2017년 : 주 5일
2019년 : 주 4일
2021년 : 주 3일 근무
농장 업무 외의 시간이 생긴 덕에 농장의 데이터 분석에도 더 시간을 쓸 수 있고, 추가로 이번 온라인 강의와 다른 사업들도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주 3일 외에 휴무에는 가족과의 시간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만 키우는 농부가 아닌 남편으로서, 이제 두살이 된 첫째 아들의 아빠로서 가장의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공룡을 좋아하는 첫째 아들 들이와 공룡 박물관 방문
2022년도 봄 가족 벚꽃 나들이
‘나는 데이터 분석과 재무에 대해 전혀 모르는데?’, ‘나는 숫자에 좀 약한데?’라고 걱정하고 계신가요?
농장의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지식은 초등학교 때 배운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만 알면 됩니다. 또한 제가 직접 만들어 농장 경영 관리에 이용하고 있는 엑셀 원본 파일을 공유해 드리기 때문에 내 농장의 수치만 입력하면 됩니다.
※강의 첨부자료 (해당 강의 회차에서 다운로드 가능)
농장 매출, 매입 정리 양식
농장 재무제표 분석 시트
번식우 성적 분석 시트
비육우 성적 분석 시트
사료 효율 분석 시트
이론적이고 어려운 내용이 아닌, 당장 농장의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농장을 경영하면서 필요한 실전 내용만을 다루기 때문에 왕초보도 이해할 수 있는 난이도입니다. 전혀 걱정하지 말고 편하게 들으시면 됩니다!
강의 목차
1. 강의 소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농장 분석 [무료 공개] - 06:10
2. 농장 데이터 (수익성/재무제표) 분석이 필요한 이유 - 10:47
3. 농장 포지셔닝 정하기[종류와 특징, 투입되는 비용] - 16:37
4. 번식우 농장 데이터 관리 [사료비] - 13:25
5. 번식우 농장 데이터 관리 [번식 성적] - 15:49
6. 엑셀을 이용한 번식우 관리 - 16:24
7. 거세우의 출하성적 분석하기 - 13:51
8. 사료 효율 분석하기 [소의 도체중 예측 방법] - 18:45
9. 한우 농장의 공통비 관리 [매입(원가)과 매출 내역 정리하기] - 12:20
10. 내 농장의 수익률은? [농장 재무제표 작성하기] - 14:34
+ 보너스 강의 - 사료 요구율 분석 보강 및 한길농장 2022년 출하 성적 분석 - 15:33
이런 분들을 위한 강의입니다.
· 내 농장의 1년 수익이 얼마인지 모르시는 분
· 사료값 내면 남는 게 없어 돈이 어디에서 새는지, 농장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싶은 분
· 농장의 번식우, 비육우의 성적을 분석하고 싶은 분
· 농장의 재무제표를 작성하여 돈의 흐름을 확실하게 알고 싶은 분
· 농장 운영을 시작하고자 하는데, 시작부터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싶은 분
볏짚을 먹고 있는 한길농장 육성우들
전국에 1,000곳의 우수 농장이 있다면 각각 다른 1,000개의 소를 키우는 노하우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우수 농장의 공통점은 데이터 분석을 한다는 것입니다.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는 농장은 성적을 높일 수도, 소값 하락 시 살아남을 수도 없습니다. 내 농장의 성적이 어느 정도인지, 농장의 연수익은 얼마인지, 농장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분석은 네비게이션과 같습니다.
네비게이션은 나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내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헤매지 않고 최단 시간에 도착하게 해줍니다.
데이터 분석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농장의 현재 상태를 진단해 주고 내가 목표로 하는 연수익과 성적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여줄 것입니다. 간혹 잘못된 방향으로 가더라도, 이 또한 데이터가 말을 해줄 것입니다.
이 강의가 많은 한우 농가의 네비게이션 역할이 되길 바랍니다.
[무료 공개 1강 - 강의 소개 영상]
서영봉
- 한길농장 경영 (한우 일관 240두)
- 사료비 계산 모바일 앱 '사료통' 대표
- 건국대학교 축산경영과 졸업
- 월간축산 22년 5월호 한우 분야 고수로 선정 (링크)
- 한우경영인회 총무
온라인 강의의 수강 가능 기간은 3개월(90일)입니다.
월 33,000원
99,000원(3개월)
농장의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손실은 월 3만원의 수준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천만 원, 혹은 농장의 규모와 시간에 비례하여 그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소가 한 번 먹으면 사라져버리는 생균제나 첨가제조차 1포에 5~10만원을 투자합니다.
첨가제 대신 이 강의를 수강하시면, 소를 키우는 동안 영원히 써먹을 수 있는 농장의 데이터 분석 노하우를 배울 수 있습니다.
"첨가제를 사시겠습니까? 아니면 내 소득과 직결되는 농장 경영 노하우를 배우시겠습니까?"
1차원적으로 소에게 투자하는 첨가제 1포 보다, 한우 농장 경영의 효율을 올려줄 한길농장만의 노하우가 압도적으로 더 높은 가치를 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첨가제 1포의 가격도 안되는 월 33,000원의 비용으로 한길농장의 데이터 분석 노하우를 제대로 배워보세요.
다른 노하우가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