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의 눈높이로 해당 업무를 가장 쉽고 잘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은 30년 경력의 초고수가 아니라, 왕초보 단계를 겪은지 얼마 되지 않은 중수입니다.
저는 가업으로 소를 키워온게 아닌, 2016년도에 한우에 입문하였습니다.
그때 당시 처음 소라는 동물을 만져보고 구충제 주사를 해보면서 땀을 뻘뻘 흘리고 쩔쩔맸던게 아직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6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지금은 농장에 들어온 수송아지의 거세 수술은 직접할 정도로 업무에 능숙해졌고, 그동안 400여마리 이상의 모두 다른 소들을, 총 4곳(임대 3곳, 자가 1곳)의 목장에서 키워보며 다양한 사례들을 경험했습니다.
연속주사기를 이용해 한우에게 구제역 백신 주사중
이러한 배경과 경험 덕분에 저는 입문자분들의 눈높이에서 한우 비육 농장의 현장 업무들을 가장 잘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확신합니다.
제가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소 키우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는 입문자 분들이 현장에서 어떤 부분을 모르고, 어떤 부분을 어려워 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 부분을 생각하며 강의의 목차는 아래와 같이 구성했습니다.
강의 목차
1. 강의 소개 [무료 공개] - 07:50
2. 입식 전 축사 소독과 깔짚 깔기, 사조와 물통 청소 - 08:47
3. 사료 선택/주문하기 [급여 프로그램 보는 방법, 사료 주문 수량 정하기] - 25:31
4. 송아지 입식과 입식 후 조치 - 14:26
5. 주사 방법의 종류(근육, 피하, 정맥)와 주사하기 [소의 체중에 따른 주사 용량 파악] - 22:26
6. 수송아지 거세하기 - 14:28
7. 사료 급여 방법 [사료 급여량 늘리는 방법, 사료 교체 방법]과 첨가제 급여 - 12:49
8. 한우 비육우 사육시 주의할 점 [끼임 사고, 요결석, 절각, 뒤집어짐 등, 아픈 소 찾는 방법] - 17:20
9. 소 출하하기 [경매/이용 도축 출하 방식의 차이점, 휴약기간과 긴급 도축] - 11:37
10. 농장 일반 작업 [구제역 백신, 구충, 퇴비 치우기 등] - 12:54
+ 보너스 강의 : 스키드로더, 트랙터 장비 없이 소 키우는 법
저는 소를 키우기 시작함과 동시에 사료 회사의 영업 사원의 일도 함께 시작했었습니다.
덕분에 수백곳의 한우/젖소 목장에 방문할 수 있었고 소의 수술 장면, 사고/폐사 사례 등 6천장 이상의 농장 현장 사진 자료들을 쌓아왔습니다.
이 강의는 이러한 현장 사진을 기반으로 시각적인 자료와 함께 진행되어 한우의 사육 환경이나 농장 운영 방식에 대해 모르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업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은 다른 농장에서 직원으로 일하며 경험을 쌓길 원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직원을 고용하는 한우 농장은 대부분 경력자만을 찾고, 그마저도 거리상의 문제나 숙소 문제 등으로 마땅한 자리를 찾기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저는 이 강의가 다른 농장에서 일을 하거나 몇 개월간 농장 실습을 하는 것의 대체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한우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료 공개 1강 - 강의 소개 영상]
온라인 강의의 수강 가능 기간은 3개월(90일)입니다.
월 18,330원
55,000원(3개월)
왕초보의 눈높이로 해당 업무를 가장 쉽고 잘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은 30년 경력의 초고수가 아니라, 왕초보 단계를 겪은지 얼마 되지 않은 중수입니다.
저는 가업으로 소를 키워온게 아닌, 2016년도에 한우에 입문하였습니다.
그때 당시 처음 소라는 동물을 만져보고 구충제 주사를 해보면서 땀을 뻘뻘 흘리고 쩔쩔맸던게 아직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6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지금은 농장에 들어온 수송아지의 거세 수술은 직접할 정도로 업무에 능숙해졌고, 그동안 400여마리 이상의 모두 다른 소들을, 총 4곳(임대 3곳, 자가 1곳)의 목장에서 키워보며 다양한 사례들을 경험했습니다.
연속주사기를 이용해 한우에게 구제역 백신 주사중
이러한 배경과 경험 덕분에 저는 입문자분들의 눈높이에서 한우 비육 농장의 현장 업무들을 가장 잘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확신합니다.
제가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소 키우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는 입문자 분들이 현장에서 어떤 부분을 모르고, 어떤 부분을 어려워 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 부분을 생각하며 강의의 목차는 아래와 같이 구성했습니다.
강의 목차
1. 강의 소개 [무료 공개] - 07:50
2. 입식 전 축사 소독과 깔짚 깔기, 사조와 물통 청소 - 08:47
3. 사료 선택/주문하기 [급여 프로그램 보는 방법, 사료 주문 수량 정하기] - 25:31
4. 송아지 입식과 입식 후 조치 - 14:26
5. 주사 방법의 종류(근육, 피하, 정맥)와 주사하기 [소의 체중에 따른 주사 용량 파악] - 22:26
6. 수송아지 거세하기 - 14:28
7. 사료 급여 방법 [사료 급여량 늘리는 방법, 사료 교체 방법]과 첨가제 급여 - 12:49
8. 한우 비육우 사육시 주의할 점 [끼임 사고, 요결석, 절각, 뒤집어짐 등, 아픈 소 찾는 방법] - 17:20
9. 소 출하하기 [경매/이용 도축 출하 방식의 차이점, 휴약기간과 긴급 도축] - 11:37
10. 농장 일반 작업 [구제역 백신, 구충, 퇴비 치우기 등] - 12:54
+ 보너스 강의 : 스키드로더, 트랙터 장비 없이 소 키우는 법
저는 소를 키우기 시작함과 동시에 사료 회사의 영업 사원의 일도 함께 시작했었습니다.
덕분에 수백곳의 한우/젖소 목장에 방문할 수 있었고 소의 수술 장면, 사고/폐사 사례 등 6천장 이상의 농장 현장 사진 자료들을 쌓아왔습니다.
이 강의는 이러한 현장 사진을 기반으로 시각적인 자료와 함께 진행되어 한우의 사육 환경이나 농장 운영 방식에 대해 모르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업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은 다른 농장에서 직원으로 일하며 경험을 쌓길 원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직원을 고용하는 한우 농장은 대부분 경력자만을 찾고, 그마저도 거리상의 문제나 숙소 문제 등으로 마땅한 자리를 찾기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저는 이 강의가 다른 농장에서 일을 하거나 몇 개월간 농장 실습을 하는 것의 대체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한우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료 공개 1강 - 강의 소개 영상]
온라인 강의의 수강 가능 기간은 3개월(90일)입니다.
월 18,330원
55,000원(3개월)
다른 노하우가 궁금하다면?